본문 바로가기

전체글89

글로벌 인재전쟁 - 혁신가의 세상. 다큐프라임 511회 - 글로벌 인재전쟁 03/13/2017 #파괴자, 괴짜, 창조자, 몽상가의 또 다른 이름, 혁신가. 세계 최초로 가솔린 자동차를 개발한 칼 벤츠, 만약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지금도 마차를 타고 다녔을 것이다. 세계 최초로 휴대폰을 만든 마틴 쿠퍼, 만약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시간과 장소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을 것이다. 세상은 당연한 것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세상에 끊임 없이 질문을 하는 ‘너드(괴짜)’들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과거의 ‘너드(괴짜)’란 말은 컴퓨터만 아는 사회 부적응자로 지칭되어 왔지만, 현재는 과학 기술에 몰입하는 천재나 재능가, 즉 혁신가를 지칭하는 말로 바뀌어왔다. 과학과 기술을 배우기에 이보다 좋을 수 없는 지금은, 그야말로 ‘너드’들에겐 최고의 세상이다. .. 2017. 3. 15.
극한직업, 라오스 커피 농장. 극한 직업 428회 - 라오스 커피 농장 03/08/2017 #커피, 누군가에겐 일상의 낙, 다른 누군가에겐 일상의 삶.“공부하려고 커피 열매를 따요. 돈을 벌어야 공부하러 갈 수 있어요"라오스, 팍송 지역의 볼라벤 고원은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서늘한 기후의 지역이다. 커피 열매 수확 시기가 되면, 마을 주민들은 잘 익은 빨간 커피 열매를 직접 손으로 따기 시작한다. 하루 종일 70~80kg 정도 커피 열매를 수확해도 약 11,000원 밖에 벌 수 없지만, 커피 농장에서 일 하는 것이 다른 일을 하는 것보다 돈을 훨씬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에, 수확철이 되면 커피 농장에 살다시피 한다.이렇게 수확된 커피 열매는 기계로 껍질을 벗기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그 후, 강가에서 커피 열매에 묻은 점액질을 여러번.. 2017. 3. 9.
청년, 할 수 있을까? 다큐프라임 509회 - 2017 시대탐구 청년 4부 청년 할 수 있을까? 03/07/2017 #청년 문제, 우리도 할 수 있을까. "세계의 어려운 데도 다녀보고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전 세계 오지에 우리 청년 한 10만 명쯤 보냈으면 좋겠어요""아프니까 청년이다" 우리나라 '청년 문제', 더 노력하고 더 고생하면 해결되는 것일까? 청년들을 위한 시원한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다른 나라에서는 '청년 문제'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해결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귀신의 섬, 대만. 우리나라 청년들이 한국을 ‘헬조선'이라 부르듯, 대만 청년들도 자국을 '귀신의 섬'이라 부를 만큼 청년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다. 일자리 문제, 치솟는 집 값 문제, 주거 문제, 결혼 문제 등 대.. 2017. 3. 8.
청년, 평범하고 싶다. 다큐프라임 508회 - 2017 시대탐구 청년 3부 평범하고 싶다 03/06/2017 #평범하고 싶은 청년들, 그들의 속마음. “17년만에 가장 높은 청년 실업률은 9.3%"역사상 가장 좁은 취업문, 우리는 좁은문을 향해 열심히 달리는 방법 밖에 없는 시대 속에 살고 있다. 그 가운데 모두가 부러워하는 대기업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 이들은 과연 행복한 삶을 살고 있을까? 차마 말하지 못한 그들의 속마음을 한번 들어보자. "충분히 아버지 나이 세대때는 참고 견딜 일이었는데, 너희는 왜 그러냐...?" 대기업 1년 만에 퇴사를 결정한 최준호씨. 남들보다 뒤쳐지지 않기 위해 취업 후에도 열심히 달려왔지만, 오랜 고민 끝에 잠시 멈추기로 결정했다. 아버지는 아들이 직장을 그만뒀다는 사실이 도저히 마음에 들지 않.. 2017. 3. 7.
벼랑 끝 위기 불법도박. 일요 특선 다큐멘터리 104회 - 벼랑 끝 위기 불법도박 03/05/2017 #승자 없는 패자만이 존재하는 거대한 늪. 불법도박이 행해지는 한 오피스텔. 몰래 도박을 하려는 자들과 이들을 막으려는 수사관들간의 치열한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이들이 불법사설경마 도박 운영으로 벌어들인 돈만 하루 베팅액 450억원, 총 베팅액 약 4조 500억원으로 추정될 만큼 어마어마하다. 2016년 기준 형사정책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불법도박 규모는 올해 정부 예산 386조원의 43.8%에 육박하고 있다. 대부분 온라인 불법 도박 서비스는 해외에 서버를 두고 운영되기 때문에 수사도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특히, 불법도박은 간단한 스마트폰만으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도 쉽게 노출되있다. 이뿐만 아니라, 국부 유출,.. 2017. 3. 5.
성큼 다가온 로봇시대. SBS 뉴스토리 120회 - 성큼 다가온 로봇시대 공존 방식은 청춘창고 03/04/2017 #인간과 로봇의 공존 방식.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이 우리 생활에 파고들면서, 우리 생활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로봇에 로봇세를 부과해야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인공지능과 로봇은 어디까지 발전하여 우리 생활을 바꿨을까? 의사들은 진료에 쫓기다보면 최신 의료 정보를 쫓기 힘들 때가 많이 있다. 하지만, 의료 로봇은 전문 저널, 교과서, 의료 정보들을 빠르게 검색하여 의사들이 진료시 놓칠 수 있는 의견을 제시한다. 의사들은 로봇이 제시한 의견을 참고하여, 진료의 최종 방향을 결정한다. 물론 로봇이 제시한 의견이 100% 맞지 않을 수 있지만, 상당 부분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의료 로봇.. 2017. 3. 4.
메이저를 넘어, 마이너의 시대로. 다큐프라임 507회 - 경계를 지우다 때로는 마이너가 승리한다 03/02/2017 #노 브랜드, 노 히스토리, 마이너의 전성시대. “메이저가 전성기를 이루던 시대는 가고, 마이너의 전성시대가 나타났다”"남들이 걷지 않은 마이너 길을 걸어라. 때로는 그곳에 기회가 있고 승리가 있다"- 순수미술 작가, 개그맨, 스턴트맨 등이 자신들의 직업을 그만두고, 물래동에 모였다. 이들은 영화 화면 속에만 나오는 멋진 스턴트 연출들을 라이브 공연으로 하는 미국 공연팀으로부터 큰 영감을 받게된 이후, 한국에서 스턴트 라이브 공연을 만들기 시작했다.- 토종 VR 컨텐츠 개발, 신규 캐릭터 개발, 거리에서의 퍼포먼스, 마임 공연 등 다양한 마이너의 영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찾아 끊임없이 달려가고 있다. 잠재력이 가득한.. 2017. 3. 3.
극한직업, 필리핀 바나나 농장. 극한 직업 427회 - 필리핀 바나나 농장 03/01/2017#하루 10시간, 평생 바나나를 짊어지고 사는 사람들. “달콤하지만, 달콤만 하지 않은 바나나"풍부한 일조량으로 열대과일의 천국이라 불리는 필리핀. 이곳에서 생산하는 바나나의 90%는 외국으로 수출된다. 한국으로 수입되는 바나나의 90%도 모두 필리핀산이라 한다. 하지만, 바나나를 수확하는 과정은 극한에 다할만큼 만만치 않은 작업의 연속이다.먼저, 바나나 나무를 칼로 짤라 우리가 알고 있는 노란색 바나나와 다른 초록색 바나나를 수확한다. 초록색 바나나는 노란색 바나나로 시간이 지나며 숙성되면서, 과육이 부드러워지고 달콤해진다. 이렇게 수확된 바나나는 운반꾼에 의해 손수 운반되게 된다. 자신의 몸보다 훨씬 큰 크기, 20~30kg 무게의 바나나를.. 2017. 3. 2.
청년 그리고 최저임금. 다큐프라임 505회 - 2017 시대탐구 청년 평범하고 싶다 2부 최저인생 02/28/2017 #최저임금, 최소한의 보호 그리고 최소한의 삶."2017년 현재 최저임금, 대한민국 6,470원" (일본 8,293원, 미국 8,315원, 호주 15,300원)"최저임금의 인상만 바라보는 노동자 약 1,000천만명"대한민국 청년들은 등록금, 생활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살고 있다. 하지만, 아르바이트로 버는 돈은 이들의 삶을 영위할 만큼은 되는가? 매년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공익위원, 사용자위원, 노동자위원)에서 치열한 회의 결과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올해 위원회에서 논의된 심의안건은 총 2가지이다. 첫째는, 최저임금을 시급제으로 주느냐 아니면 주휴수당이 보장되는 월급제로 주느.. 2017.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