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큐,영상

청년, 할 수 있을까?

by 일각도 2017. 3. 8.

다큐프라임 509회 - 2017 시대탐구 청년 4부 청년 할 수 있을까? 03/07/2017


#청년 문제, 우리도 할 수 있을까.

"세계의 어려운 데도 다녀보고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전 세계 오지에 우리 청년 한 10만 명쯤 보냈으면 좋겠어요"

"아프니까 청년이다"

우리나라 '청년 문제', 더 노력하고 더 고생하면 해결되는 것일까? 청년들을 위한 시원한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다른 나라에서는 '청년 문제'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해결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귀신의 섬, 대만.




우리나라 청년들이 한국을 ‘헬조선'이라 부르듯, 대만 청년들도 자국을 '귀신의 섬'이라 부를 만큼 청년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다. 일자리 문제, 치솟는 집 값 문제, 주거 문제, 결혼 문제 등 대만 또한 한국과 크게 다를 것 없는 상황이다. 월급을 평생 모아도 내 집 하나 마련하기 어려운 현실. 미래를 불안감으로 하루 하루 사는 것 밖에 방법은 없는 것일까?






"대만 청년 투표율 74.6%"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대만의 청년들은 정치 의원, 투표 참여로 문제가 정책적으로 해결되길 희망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를 꿈꾸는, 스페인.




2008년 금융위기를 겪은 이후, 최악의 청년 문제를 겪고 있는 스페인. 물가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비싼데, 최저시급은 더 낮다. 그래서 스페인을 떠난 청년의 수는 매년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다 보니, 스페인의 청년들 또한, 극심한 취업난에 불안한 미래를 하루 하루 살아가고 있다. 이력서를 무작정 돌리고 다니는 스페인 청년들.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 가운데, 스페인 청년들은 무능한 정치 쪽에 분노하며 정치 참여, 캠페인 등과 같은 행동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청년의 문제, 결국 우리 모두의 문제.

대만, 스페인 두 나라 모두 청년 문제에 목소리를 내고 행동 하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었다. 우리 또한, 목소리를 내야하고 행동을 해야만 변화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목소리를 내고 행동을 취하면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줄까? 이 부분이 가장 답답한 문제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바라고자 하면,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목소리를 내고 직접 행동에 옮겨야한다.


'다큐,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인재전쟁 - 혁신가의 세상.  (0) 2017.03.15
극한직업, 라오스 커피 농장.  (0) 2017.03.09
청년, 평범하고 싶다.  (0) 2017.03.07
벼랑 끝 위기 불법도박.  (0) 2017.03.05
성큼 다가온 로봇시대.  (0) 2017.0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