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글89

명견만리 – 탈출 인구절벽 1부,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라. ※ 명견만리 56회 - 탈출 인구절벽 1부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라 03/31/2017 “한국은 저출산이 심각해 인구가 소멸하는 지구상의 첫 국가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빨리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이다. 올해 2017년, 신생아의 수는 100만명에서 40만명으로 급감했다. 또한 15세~64세인 생산가능 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초저출산 현상이 계속된다면 한국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저출산 문제를 극복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나라 한 집 아래 자녀수가 평균 6명이었던 때가 있었다. 인구폭발을 걱정했던 정부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산아제한정책'을 실시했었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지금, 정부는 저출산 국가에서 탈출하기 위해 '출산장려정책'을 펼치.. 2017. 4. 5.
폐광의 색다른 변신, 돈이 되는 폐광. ※ SBS 뉴스토리 123회 - 흉물이 된 폐광, 돈이 되는 폐광 04/01/2017 "쓸모없는 것들에 지혜를 더한다면..." 석탄 산업은 한 때 우리나라의 산업혁명을 이끈 주요 산업 중 하나였다. 하지만 1989년, 정부의 산업 구조조정으로 석탄 산업은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래서 대부분 탄광들은 흉물처럼 방치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폐광을 활용하여 지역 명물로 탈바꿈하려는 움직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흉물 폐광'이 '돈이 되는 폐광'으로 어떻게 탈바꿈한지 한번 알아보자. #탄광촌의 부활, 졸페라인의 기적 독일 에센 지역의 졸페라인 탄광은 독일 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세계 최대의 탄광이다. 하지만, 석탄이 점차 고갈되고, 석탄산업도 사양화되면서 졸페라인 탄광은 폐허로 변했다. 하.. 2017. 4. 4.
달의 기적, 달이 차오른다. ※ 다큐프라임 517회 - 달의 기적, 달이 차오른다. 03/27/2017 달은 45억년이라는 시간동안 밤마다 지구의 등불이 되어주었다. 달은 지금도 다양한 모양으로 차오르고, 또 차오른다. 이러한 달에 의해, 우리는 지구 곳곳에 생기는 신기한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들은 무엇이며, 왜 발생하는 것일까? 달이 만들어낸 기적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달이 만드는 위대한 조각품. 캐나다의 '펀디 만(Bay of Fundy)'에서는 빠른 유속과 거친 파도로 인해 지금도 위대한 조각품들이 조각되고 있다. 펀디 만은 세계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큰 곳으로 유명하다. 최대 조차는 무려 16m이고, 만조 때 바닷물의 양은 약 1,000억 톤에 달한다고 한다. 많은 관광객.. 2017. 3. 30.
[TED]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TED]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 사이먼 사이넥"사람들은 자신의 ‘왜’, 즉 신념을 증명하기 위해 ‘무엇을’을 택합니다" #골든서클(Golden circle)의 방식Why(왜) > How(어떻게) > What(무엇을) #What > How > Why의 예시 "우리는 훌륭한 컴퓨터를 만들었습니다. 디자인이 유려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친화적입니다. 한 대 사실래요?" #Why > How > What의 예시“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우리가 믿는바, 즉 현실에 도전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는 ‘다르게 생각하기’의 가치를 믿습니다. 우리가 현실에 도전하는 방식은 모든 제품을 유려한 디자인, 편리한 상요법, 사용자친화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훌륭한 컴퓨터가 탄생했습니다. 한 대 사시겠습니까?” 2017. 3. 30.
글로벌 인재전쟁 – 공무원이 꿈인 나라를 넘어 도약하라. ※ 다큐프라임 515회 글로벌 인재전쟁 5부 - 대한민국 도약의 조건 03/21/2017 #공시생 40만명의 시대를 넘어. “아무도 가지 않는 길을 대담하게 갈 줄 아는 용기" 우리는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한국 사회시스템 속에 살고 있다. 왜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달리 실패를 하면 안되는 것일까?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취업준비생 중 50% 이상이 공무원시험 등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공시족’이라고 한다. 많은 청년들이 실패하는 것을 실패하지 않기 위해 공무원시험을 선택 하는 것은 비단 청년들만의 문제는 절대 아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 청년들은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며 현재를 살아가고 있을까? 미국, 중국에서는 실패를 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사회시스템이 정책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다. 또한 창의적인.. 2017. 3. 28.
글로벌 인재전쟁 – 중국의 매서운 추격전. ※ 다큐프라임 514회 글로벌 인재전쟁 4부 - 추격자 세상을 탐하다 03/20/2017 #쫓으려고 하는 자, 달아나려고 하는 자. “부자가 될 수 있으면 먼저 부자가 되라" 시장 경제 도입 40년만에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고, 구매력 기준 GDP로도 미국을 추월하였다. 중국은 이제 기초 과학, 기술 분야를 넘어서서, 모든 분야에서 미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중국의 한 학교인 ‘독수리 아버지학교’에서는 독특한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학생들에게 외발자전거 타는 법을 가르치거나, 우뇌를 의도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 왼손만 사용해서 식사를 하게 하는 등 중국의 기존 학교와는 완전히 다르다. 이렇게 차별화된 교육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중국은 이런 교육을 통해 미래사회.. 2017. 3. 27.
명견만리 – IMF 20년 중산층이 사라진다. ※ 명견만리 55회 - IMF 20년 중산층이 사라진다 03/24/2017 #IMF 이후 최대 위기,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을 변화시킨 힘, 바로 중산층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중산층'은 통계청 기준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월소득이 223만원 ~ 669만원인 가구를 의미한다. 월소득만 이 범위안에 들어가면 우리는 중산층이라고 과연 얘기할 수 있을까? 월소득이 중산층의 범위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우리는 일한 만큼 정당한 대우를 받는 것이 힘들고, 7포 세대라는 말이 나오듯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는 시대 속에 살고 있다. 그렇다면 1997년 IMF 외환위기가 20년이 지난 지금, 그동안 대한민국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앞으로.. 2017. 3. 26.
글로벌 인재전쟁 - 세계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 중국. ※ 다큐프라임 513회 - 글로벌 인재전쟁 3부 용의 숨겨진 발톱 03/15/2017#세계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 중국.세상 어디에 없는 아이디어라도 가장 빠르게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곳, 중국의 ‘선전’, 이곳으로 전세계 창업자들, 기업들, 투자자들이 몰려들고 있다. 이곳에서는 필요한 온갖 부품을 값싸게 구할 수 있을 뿐더러, 글로벌 기업의 주문 상품을 제조함으로써 익힌 기술력까지 뒷받침 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실리콘밸리'라 부를만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곳에 진출한 창업 기업들을 제품을 빠르게 개발하여 시장을 진출한 후, 소비자의 의견을 받아 개선점을 빨리 찾는 등 중국 ‘선전’만의 이점을 충분히 누리고 있다. “천하의 모든 인재를 뽑아 내 사람으로 쓰겠다” -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 중.. 2017. 3. 25.
유재석,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중요한 건 꿈을 위해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 출처: 나를 깨우는 곳, 깨움 2017.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