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하루만에 끝내는 한국사 시험 핵심 요약.

by 일각도 2017. 5. 9.
#1. 석기시대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를 나누는 기준은 도구 사용을 기준으로 나눈다.

**구석기 시대 (B.C 70만년)
- 사회: 불의 사용(불을 이용해서 음식을 익혀먹음), 사냥, 어로, 채집, 이동생활
- 주거: 막집, 동굴
- 신앙: 시체 매장, 물고기 조각(동굴 벽화)
- 유적지: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평남 검은모루 동굴, 함북 웅기 굴포리
- 유물(뗀석기): 주먹도끼, 밀개, 찍개, 슴베찌르개(잔석기) 



**신석기 시대 (B.C 8천년)
- 사회: 농경시작, 가축 사육, 정착생활
- 주거: 움집(강가에서 반지하에 지푸라기를 올린 집), 화덕
- 신앙: 토테미즘(동물을 숭배), 애니미즘(정령을 숭배), 샤머니즘(무당을 숭배)
- 유적지: 제주도 한경, 서울 암사동
- 유물(간석기): 농경굴지구, 가락바퀴(옷감을 만드는데 사용), 뼈바늘, 빗살무늬 토기(음식물을 저장하는데 사용)




#2. 고조선

고조선은 청동기 시대에 건국되었다.

**청동기 시대 (B.C 10C)
- 사회: 벼농사(잉여 생산물), 계급사회 발생, 군장국가 형성
- 주거: 다양한 형태의 지상가옥
- 신앙: 선민사상(단군신화)
- 유적지: 대구 월성동, 김천 송죽리
- 유물: 반달돌칼(청동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석기도 여전히 사용함), 거친무늬 거울, 비파형동검, 민무늬 토기, 고인돌(지배계급을 상징), 돌넘무덤(석관묘)



**초기철기 시대 (B.C 10C)
- 사회: 철기제작(농업 생산+전쟁 급증), 고대국가의 성립
- 주거: 다양한 형태의 지상가옥
- 신앙: 바위그림(고래, 거북이, 자연환경)
- 유적지: 울산 반구대, 고령 양전동
- 유물: 거푸집, 잔무늬거울, 세형동검(청동기 말), 널무덤(널판지로 무덤 안을 둘러됨), 독무덤(항아리 형태의 무덤), 대외교류(명도전, 붓 - 중국)



**고조선의 특징
- 건국: B.C 2333년에 견국, 단군왕검-제정일치(제사와 정치를 일치) 사회, 건국이념(홍익인간-‘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 수도: 왕검성
- 경제: 농경사회, 철기도입, 삼각교역(고조선,한,진)
- 법률: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생명존중), 남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 보상한다(사유재산), 도둑질한 자는 노예가 되거나 배상한다(계급사회)
- 신앙: 토테미즘, 선민사상(단군신화)



**고조선의 역사
1) 왕위세습: 부왕 > 준왕
2) 위만조선: 준왕 > 위만
3) 멸망과정: 한(漢) 침공 > 왕검성 함락(B. C. 108) > 한4군 설치 - 낙랑,현도,임둔,진번



#3. 연맹왕국


**부여
1. 정치: 중앙 - 5부족 연맹체, 지방 - 대가, 사출도(말, 소, 돼지, 개 동물을 숭배함), 관료 - 대사자,사자
2. 경제: 반농반목(농사와 목축업), 주옥, 모피
3. 풍습: 순장(왕이 죽으면 신하 및 백성들을 함께 묻어 버리는 풍습), 엄격한 법률:1책12법(물건을 훔치다 걸리면 12배로 갚아야 하는 법률), 우제점(소 뼈로 점을 침)
4. 제천: 영고(12월)


**고구려
1. 정치: 중앙 - 5부족 연맹체(5개의 성씨가 만든 나라), 지방 - 고추가,상가, 관료 - 사자, 조의, 선인
2. 경제: 약탈경제, 부경(창고)
3. 풍습: 형사취수제(형이 사망하면 동생이 형수를 취함), 서옥제(데릴사위), 국동대혈(제사 지내는 동굴)
4. 제천: 동맹(10월)


**옥저
1. 정치: 군장체제 - 읍군, 삼로
2. 경제: 소금, 해산물을 고구려에 공납
3. 풍습: 민며느리제(시집살이), 골장제(가족 공동무덤)
4. 제천: -


**동예
1. 정치: 군장체제: 읍군, 삼로
2. 경제: 과하마(조랑말), 단궁(짧은 활), 반어피(바다표범)를 고구려에 공납
3. 풍습: 책화(씨족사회), 족외혼(다른 부족과 결혼), 凸형 집터
4. 제천: 무천(10월)


**삼한 (마한, 진한, 변한)
1. 정치: 제정분리 사회, 소도 - 천군관할 성역, 마한은 백제에 병합, 진한은 신라에 병합, 변한은 가야연맹이 됨
2. 경제: 제철(삼한-낙랑-왜), 벼농사
3. 풍습: 주구묘(무덤 주위에 수로를 파서 도굴을 방지), 토실(거주지), 두례(노동력을 주고 받은 풍습)
4. 제천: 수릿날(5월) > 단오, 계절제(10월) > 상달


**가야연맹


1. 정치: 김수로(구지가 설화)에 의해 건국, 6연맹왕국(성산가야, 대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소가야, 금관가야)
2. 역사: 초기 - 금관가야, 후기 - 대가야, 신라병합 - 진흥왕
3. 경제: 금동관, 철갑옷, 토기기술 > 스에키토기(일) - 토기기술을 일본에 수출
4. 풍습: 편두 - 성형수술(머리모양을 납작한 게 이쁘다고 생각해서 어릴 때부터 머리를 눌러서 인위적으로 납작하게 만드는 풍습) , 고분(무덤)




#4. 삼국시대


**고구려
1. 성립기(2-3C)
1) 건국: 주몽(B.C. 37)
2) 태조왕: 국가정비
3) 고국천왕: 진대법(춘대추납법 -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돌려받는 법) > 을파소의 건의
4) 귀족회의: 제가회의

2. 성장기(4C)
1) 미천왕: 낙랑 정복
2) 고국원왕: 평양 상실
3) 소수림왕: 불교 수용

3. 항전기(5-6C)
1) 광개토대왕: 요동정복, 신라지원, 연호사용(영락)
2) 장수왕: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남진정책 - 한강 정복,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비
3) 문자왕: 부여병합

4. 통일기(7C)
1) 고구려-수나라 전쟁: 살수대첩(을지문덕)
2) 고-당 전쟁: 안시성(양만춘)
3) 멸망: 보장왕(668년) - 연개소문 사후 내분
4) 부흥운동: 안승, 검모잠


**백제
1. 성립기(2-3C)
1) 건국: 온조(B.C. 18)
2) 고이왕: 국가정비
3) 귀족회의: 정사암 회의

2. 성장기(4C)
1) 근초고왕: 왕권강화 - 부자상속, 평양마한 정복, 요서-산동-규슈 진출
2) 침류왕: 불교 수용

3. 항전기(5-6C)
1) 문주왕: 한성 > 웅진
2) 무령왕: 22담로 설치
3) 성왕: 국호변경 - 남부여,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 한강 일시 회복

4. 통일기(7C)
1) 십자외교: 고구려, 백제, 돌궐, 왜
2) 왕산벌 전투: 계백
3) 멸망: 의자왕(660년)
4) 부흥운동: 복신, 왕자풍


**신라
1. 성립기(2-3C)
1) 건국: 박혁거세(B.C. 57)
2) 왕위 순환계승 > 박씨, 석씨, 김씨
3) 귀족회의: 화백회의(만장일치로 결정되는 회의)

2. 성장기(4C)
1) 내물 마립간: 마립간 호칭 사용(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김씨 독점 왕위 세습

3. 항전기(5-6C)
1) 지증왕: 왕 호칭, 신라 국호, 우산국 정복(이사부)
2) 법흥왕: 골품제, 불교공인
3) 진흥왕: 화랑제도, 대가야-한강 정복, 4대 순수비, 단양 적성비

4. 통일기(7C)
1) 십자외교: 나,당연합
2) 통일과정: 백촌강에서 일본 격퇴, 백제부흥군 진압, 고구려 부흥군 지원, 매소성-기벌포 전투
3) 삼국통일: 문무왕(676년)


**중국
1. 성립기(2-3C)
후한 > 삼국 > 진(晉)

2. 성장기(4C)
남북조시대(5호 16국)

3. 항전기(5-6C)
남북조시대 > 수(隋)

4. 통일기(7C)
수 > 당(唐)

 

#5. 남북국시대

**발해


1. 왕대업적
1) 대조영: 발해건국(698)
2) 무왕: 당-신라 견제
3) 문왕: 당과 친선관계
4) 선왕: 최전성기 > 해동성국
5) 애왕: 거란에 멸망(926)

2. 정치
1) 국호: 대진 > 발해+독자적연호
2) 이원적 구성: 고구려인+말갈인
3) 행정: 3성6부제+5개의 수도
4) 중정부: 왕권견제 기구

3. 문화
1) 정해공주묘: 고구려 영향
2) 정효공주묘: 중국(당)에 영향

4. 경제
1) 발해관(산동교역)
2) 신라도(신라교역)


**신라 중대
1. 왕대업적
1) 신문왕: 시중강화 > 귀족(상대등) 약화 - 왕권 강화, 관료전지급 및 녹읍폐지, 행정(9주-5소경), 군사(9서당 10정), 국학설립-최고 교육기구
2) 성덕왕: 정전 지급

2. 정치
1) 상수리제 > 지방통제
2) 외사정 설치 > 지방을 감찰

3. 문화
1) 만파식적(피리)
2) 불국사
3) 석굴암
4) 상원사 종(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

4. 경제
1) 중국교역: 신라방(거주구)-신라원(사찰)-신라관(숙박시설)-신라소(관청)
2) 시장: 동시전(상업감독)-울산항
3) 민정문서(신라장적): 부역-조세-수취


**신라 하대-후삼국 시대


1. 왕대업적
1) 원성왕: 독서상품과 
2) 흥덕왕: 청해진(장보고) 
3) 진성여왕: 시무10조(최치원)
4) 경순왕: 고려에 병합(935년)
5) 고려의 재통일: 왕건(936년)

2. 정치
1) 시중약화 > 상대등 강화(녹읍부활) 
2) 농민봉기: 원종-애노의 난
3) 호족흉기: 궁예-견훤-왕권 등

3. 문화
1) 불교: 교종 > 선종
2) 도교: 풍수지리 발달



#6. 고려시대


1. 왕대업적
1) 왕건: 혼인-사성 정책, 사신관-기인제도, 승불정책, 북진정책, 흑창(구민제도)
2) 광종: 노비안검법, 과거제도, 칭제건원  
3) 성종: 최승로(시무28조), 행정구역(2성6부-12목), 구민제도(흑창>의창), 물가조정(상평창)
4) 공민왕: 반원정책, 관제복구, 쌍성 탈환(이성계), 왕권강화(신돈), 전민변정도감, 성균관(학술기구)


2. 고려 전기 국내정치
**호족 > 문벌귀족(10-11C)
1) 특권: 음서제-공음전
2) 교역: 벽란도
3) 이자겸의 난: 문벌귀족의 부패
4)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서경파(묘청) vs 개경파(김부식)

**무신정권
1) 이의방-정중부: 도병마사 > 중방
2) 경대승: 도방
3) 이의민: 중방
4) 최충현: 교정도감
5) 최우: 정방설치, 삼별초 증편, 강화 천도, 팔만대장경
6) 농민봉기: 망이-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만적의 난(최충현의 노비) 


3. 고려 후기 국내정치
**권문세족(12C)
1) 관제격하: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2) 부마국으로 전략
3) 영토상실: 동녕-탐라-쌍성
4) 내정간섭: 정동행성
5) 다루가치 파견
6) 일본원정: 1-2차 실패
6) 사회변화: 조혼풍습, 응방, 몽고풍-고려양

**신진사대부(13C)
1) 신흥무인 성장: 최영-이성계
2) 화포개발: 최무선
3)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 권문세족: 대지주, 불교, 친원파, 음서제
- 신진사대부: 중소지주, 유교, 친영파, 과거제
4) 고려 멸망: 공양왕(1392년)
- 우왕: 요동정벌 > 위화도 회군
- 토지개혁: 전시과 > 과전법(1391년)
- 신진사대부의 대립: 정도전(급진파) vs 정몽주(온건파)


4. 고려의 대외관계
**대요전쟁(10-11C) - 거란
1) 제 1차 침공 > 강동6주 수복(서희) 
2) 제 2차 침공 > 강조의 패배
3) 제 3차 침공 > 귀주대첩(강감찬)
4) 천리장성 축조

**여진전쟁(10-11C)
1) 별무반 창설(윤관)
2) 동북9성 수복 > 반환

**대몽전쟁(12-13C)
1) 처인성 전투(김윤후)
2) 충주성 전투: 노비들의 참전
3) 문화재 유실: 황룡사9층 목탑, 초조대장경
4) 삼별초의 항쟁: 강화>진도>제주, 배중손-김통정


5. 고려의 문화유산
- 직지심체요절(금속활자)

- 팔만대장경(목판본)

- 상감청자



#7. 조선전기

1. 왕대업적
1) 태조: 조선 건국(1392),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1394), 정도전(왕도정치,재상정치)

2) 태종: 양전사업, 호패법, 왕권 강화(6조 직계제), 의금부-승정원 설치, 사간원 독립

3) 세종: 왕도정치(의정부 서사제), 집현전(학술기관), 훈민정음 창제, 영토문제(4군 6진 - 김종서, 대마도 - 이종무)

4) 세조: 계유정난(단종 > 세조), 왕권강화(6조 직계제 부활), 집현전 폐지, 경연 폐지, 경국대전 편찬 시작(호전-형전 완성)

5) 성종: 경국대전 완성, 홍문관 설치(3사 확립; 왕권견제), 왕도정치(의정부 사서제-경연 확대), 사림의 등용(김종직)

6) 연산군: 무오사화(‘조의제문’ 발단), 갑자사화(폐비윤씨 사건 발단), 경연 축소, 연산군의 폭정(서모장살, 인수대비와 불화, 흥청소 설립, 금표비 - 사냥구역)

7) 중종: 중종반정, 조광조의 개혁(현량과 실시 - 인재채용, 소격서 폐지, 경연 확대, 소학 보급), 기묘사화(위훈삭제 발단), 비변사 설치(임시기구)

8) 명종: 을사사화(외적 간의 대립), 승과 일시적 시행, 임꺽정의 난, 비변사의 상설화



7) 선조
- 임진왜란 발발(1592년)
- 주요전투
a) 탄금대: 신림-이일(패전)
b) 한산도, 명량: 이순신
c) 행주: 권율
d) 진주: 김시민
- 의병활동: 곽재우, 조헌, 고경명
- 각 종 문화재 손실(도자기 유출)
- 사회, 경제구조 붕괴
- 비변사의 강화: 최고 권력기구
- 일본에 쇄환사 파견: 사명대사

2. 조선의 문화유산
- 분청사기(조선전기)

- 순백자(조선중기)

- 청화백자(조선후기)



#8. 조선후기

1. 왕대업적
1) 광해군
- 기유약조: 일본과 외교회복, 통신사 파견
- 중립외교: 명-조선-후금
- 양안-호적 복구
- 대동법 실시: 1결당 쌀 12두, 상푸명제 발달
- 폐모살제
- 무리한 토목공사

2) 영조
- 완론탐평(소극적): 공통의견만 수렴
- 균역법 실시: 군포 2필 > 1필
- 이조전량 권한 축소
- 약형 금지
- 신문고 부활(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해결하려는 기구)
- 서원정리(1차)
- 속대전: 경국대전 계승

3) 정조
- 준론탕평(적극적) : 시비를 명확히 가림
- 규장각: 왕립도서관
- 초계문신제도: 왕(스승)-신하(제자)
- 장용영 창설: 친위대
- 수령권한 강화: 유향소 견제
- 신해통공: 금난전권 혁파(노점상인을 폐지하려는 의도)
- 대전통편: 속대전 계승
- 화성축성: 정약용(거중기 개발)


2. 조선 후기 국내정치
1) 붕당정치
- 선조: 이조전량 문제 (동인 vs 서인)
- 정철문제로 동인 분화 (북인 vs 남인)
- 광해군: 북인의 분화 (대북 vs 소북)
- 현종: 예송논쟁 (서인 vs 남인)

2) 환국정치(숙종)
- 경신: 허적의 유악사건 (남인 > 서인)
- 기사: 인현왕후 폐위 (서인 > 남인)
- 감술: 인현왕후 복위 (남인 > 서인)
- 영-정조: 탕평책

3) 세도정치(순조-철종)
- 일문독재: 안동김씨-풍양조씨
- 매관매직 성행
- 삼정문란: 전정-군정-환정
- 홍경래의 난(1811)
- 임술 농민봉기(1862)
- 정감록-서학(천주교) 유행


3. 대외관계


1) 인조
- 정묘호란(1627)
- 병자호란 발발(1636): 삼전도맹약(청과 군신관계)

2) 효종
- 북벌정책: 송시열-이완
- 나선출병: 조-청연합군의 러시아 격파

3) 숙종
- 백두산 정계비: 서위 압록강, 동위 토문강(두만강-송화강)


4. 조선의 문화유산
- 단오풍경(신윤복)

- 서당(김홍도)

- 호랑이와 까치(민화)



#9. 근대 개항기

1. 대원군 집정기
1) 국내정치
- 왕권강화: 비변사 폐지, 대전회통 편찬, 경복궁 중건(당백전 발행), 서원정리
- 민생안정: 양전사업(토지조사), 호포법(군역제-양반과세), 사창제(구민제도)

2) 대외관계(통상수교 거부정책)
- 병인양요(1866): 천주교 탄압(병인박해) > 프랑스 침공(강화도로 침공) > 정족산성(양헌수)
- 남연군묘 도굴사건(1868)
- 신미양요(1871): 제너럴셔먼호 사건(1866) > 미국의 침공(강화도) > 광성보 전투(어재인)
- 척화비 설립(1871)


2. 개항기 상황
1) 강화도 조약(1876) - 일본과의 불평등 조약
- 고종 친정: 민씨정권
- 통상개화정책 실시: 박규수-오경석-유홍기
- 운요호 사건(1875)
**조약내용: 청의 종주권 부정, 부산-원산-인천 개항, 해안측량권, 치외법권,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
- 조미 수호통상조약

2) 통리기무아문(1880)
- 새로운 기관 설립: 박문국(인쇄), 전환국(화폐), 기기창(무기), 별기군 창설(신식군대)
- 해외사절: 신사유람단(일본), 영선사(청), 보빙사(미국)

3) 조청상민 수륙무역장정(1882)
- 임오군란: 대원군 재집권
- 청의 개입: 대원군 실각 > 민씨복귀 > 청의 고문정치
**조약내용: 상-하국간의 약속, 청상인 특혜
- 제물포 조약(조-일): 일본군 주둔-배상


3. 근대개혁
1) 갑신정변(1884)
- 우정국(우체국) 축하연 거사
- 급진파 주도: 김옥균, 박영효
- 개혁 14개조(3일만에 실패): 청과 관계 단절 및 입헌군주제 주장, 재정의 일원화, 신분제 폐지
- 한계성: 대중적 지지 결여, 청의 진압으로 실패
- 한성조약: 일본에 배상금 지불
- 텐진조약: 청-일 동시철병-상호통보

2) 갑오개혁(1894) -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 청일전쟁과 동학농문운동의 여파
- 제 1차 개혁(군국기무처): 청의 종주권 부인, 재정일원화(탁지아문), 조세 금납화-도량형 통일, 신분제 철폐-과부재가 허용, 조혼-연좌제 폐지
- 제 2차 개혁(홍법14조): 박영효-김홍집 내각, 재판소 설치, 행정개편(8도 > 23부 개편), 교육입국조서(근대학제)


4. 동학농민운동
1) 동학의 등장
- 외국의 침탈: 일본의 미면 교환, 청의 내정간섭 심화, 영국의 거문도 점령
- 동학의 박해: 교조 최재우의 처형, 동학 교주의 교체(최재우 > 최시형)
- 교조신원운동 전개

2) 고부-백산봉기(1차봉기)
- 배경: 조병갑의 학정, 안핵사 이용태의 실정
- 동학농민군 결성(전봉준)
- 재중의소(4대강령): 인명 중시, 충효와 구민, 반외세와 반봉건, 탐관오리 처벌
- 전주함락 > 청-일 개입
- 전주화약 체결


3) 개혁과 2차봉기
- 폐정개혁(농민주도): 집강소 설치, 토지균분, 과부 재가 허용, 탐관오리 처벌
- 교정청 설치: 정부 주도의 개혁
- 일본의 경복궁 점령: 척왜양창의(반외세)
- 우금치 전투: 동학농민군의 진압




#10. 대한제국

1. 고종전성기
1) 을미개혁(1895)
- 청일전쟁의 여파: 삼국간섭(러-프-독)
- 김홍집 천러내각 등장
- 을미사변: 명성황후 시해
- 개혁내용: 단발령, 태양력 사용, 소학교 개정(여성 학교 입학)

2) 광무개혁(1897)
- 아관파천(1896): 고종의 러시아 공사관 피신
- 러시아 영향력 강화
- 열강의 각종 이권침탈
- 귀궁과 개혁: 구본신참(옛 것을 본받아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 추구, 양전사업, 기술학교 설립
- 대한제국 국제: 왕권강화


2. 근대 운동의 전개
**독립협회(1898)
1) 대중 계몽활동
2) 독립신문 발간
3) 독립문 건설
4) 만민공동회(친일반러): 서재필-이승민 주도, 절영도조차 저지, 한-러 은행 폐지
5) 관민공동회(헌의6조): 임헌군주제 지향, 중추원관제 선포
6) 황국협회(어용단체): 독립협회 해산

**계몽운동
1) 보안회(1904): 황무지 사용권 반대
2) 헌정연구회(1905): 헌법제정 추구
3) 대한자강회(1906): 국민교육 배양
4) 신민회(1907): 공화정 주장
5) 국채보상운동(대구): 서상돈 주도, 국가채무 배상운동, 일진회의 탄압

**위정척사운동(의병활동)
1) 을미의병(1895): 양반-유생 계층 중심, 국왕의 명령으로 해산
2) 을사의병(1905): 최익현 주도(자진해산), 평민 의병장(신돌석) > 저항 지속
3) 정미의명(1907): 13도 창의군 결성 > 총대장: 이인영, 서울 진공작전 전개


3. 국권 침탈 과정
**러일전쟁-을사조약
1) 가쓰라-테프트 조약(미-일)
2) 제2차 영일동맹(영-일)
3) 포츠머스 강화조약(러-일)
4) 한일의정서(1904): 일본의 군용지 사용권
5) 제1차 한일협약(1904): 고문정치(재정-외교)
6) 을사조약(1905): 통감정치(이토 히로부미), 외교권 박탈(을사5적)

**정미조약
1) 헤이그 특사(1907): 만국평화회의 파견, 이준-이위종-이상설
2) 정미조약(1907): 고종 강제 퇴위, 통감의 권한 강화, 군대 해산

**기유각서-경술국치
1) 기유각서(1909): 사법권 박탈
2) 안중근 의거(1909): 이토 히로부미 저격
3) 간도협약(1909)
4) 경술국치(1910): 주권 박탈(한일병합)
5) 황성신문(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11. 일제 강점기

1. 1910년대 독립운동
**헌병결찰 통치기(무단통치)
1) 헌병경찰 시대: 태형-즉시처분, 칼찬 교사
2) 토지조사사업(동양척식주식회사): 경작권 부정 > 계약제
3) 회사령: 회사설립 허가제 도입
4) 제1차 조선교육령: 수업연한 축소(초6 > 초4)
5) 종교: 대종교(단군신앙 - 중광단), 원불교(대중화 - 새생활운동)

**독립운동
1) 만세운동: 3.1운동(1919년): 윌신의 민족자결주의, 동경 2.8독립선언, 고종 인산일 > 민족대표 33인: 독립선언사, 파고다공원 시작(유관순)
2)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상해): 삼권분립-최초 공화정, 사료편찬소-독립신문 편찬, 국제연맹 청원사건으로 분열
3) 국외 독립운동
- 서간도: 신흥무관학교(이회영)
- 북간도: 북로군정서군(김좌진)


2. 1920년대 독립운동
**문화통치
1) 보통경찰제 도입
2) 조선-동아일보 창간
3) 문민 총독 가능
4) 치안유지법(1925) > 사회주의 탄압
5) 제2차 조선교육령(1919): 일본 학제와 동일, 조선어 필수과정 도입
6) 회사령 폐지: 신고제로 전환
7) 산미증식계획: 농경지 개간-개량-수리 확충, 증산성공-목표량 미달, 일본으로 대부분 수탈됨

**독립운동
1) 문맹퇴치 운동: 브나로드 운동
2) 사회주의 영향: 소작쟁의-노동쟁의
3) 사회운동: 방정환-근우회-형평운동
4) 물산장려운동(평양): 국산품 애용
5) 민립대설립 운동: 경성제국대학
6) 자치론: 민족적 경륜(이광수)
7) 만세운동: 6.10운동(1926)
8) 광주학생 항일운동(1929)
9) 신간회: 좌우합작기구
10) 의일단: 김원봉-신채호-김상옥-나석주
11) 독립전쟁: 봉오동(홍범도), 청산리(김좌진)


3. 1930년대 독립운동
**민족말살 통치
1) 세계 경제 대공황 발생
2) 병참기지화 정책: 중화학공업
3) 국가총동원령: 공출-식량배급-징용-위안부
4) 내선일체론: 창씨개명, 조선어금지, 황국신민 서사
5) 제3차 조선교육령(1938): 조선어 선택과목화, 보통학교 > 황국신민학교로 개명

**독립운동
1) 조선어학회 사건
2) 역사학 발전: 민족사관(신채호, 박은식), 실증주의(진단학회)
3) 한인애국단(김구 선생 주도)
- 일본 천황에 폭탄투척: 이봉창
- 루쉰공원 폭탄투척: 윤봉길
4) 임시정부(1940): 상해 > 충칭
- 대일-독 선전포고
- 건국강령-한국광복군 창설
5) 한중연합전선: 지청천-양세봉



#12. 해방과 분단

1. 해방 3년사
**해방과정
1) 카이로 회담(1943): 최초의 독립 언급
2) 얄타회담(1945): 38선 분할-신탁통치 논의
3) 포츠담회의(1945): 한국의 독립 재확인
4) 국내외 준비상황: 조선건국동맹(국내), 조선독립동맹(옌안), 대한민국 임시정부(충칭)
5) 해방(1945.8.15)

**해방이후
1) 건국준비위원회(1945): 여운형-안재홍(좌우합작)
2) 모스크바 3상회의: 한국 임시정부 수립 > 신탁통치 (좌파:반탁 > 찬탁/우파:반탁)
3) 미-소공동위원회(1946/1947): 미-소의 의견 대립 > 휴회-결렬
4) 이승만 정읍발언(1946)
5) 제주 4.3사건 > 여수 사건(1947)
6) 남북협상 시도(1948) > 김구
7) 남한 5.10총선(1948)
8) 제헌헌법 제정(1948.7.17)


2. 한국전쟁
**남북분단(1948)
1) 남북분단(1948): 대한민국(이승만 - 8.15),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김일성 - 9.9)
2)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1948): 남한의 친일파 청산, 국회프락치 사건으로 실패
3) 남한 농지개혁: 유상매입-유상분배

**한국전쟁(1950)
1) 배경: 미국의 애치슨 선언, 소련-중국의 북한 지원
2) 북한의 기습남침(6.25): 임시수도 부산
3) 인천상륙작전(맥아더): UN군의 참전
4) 중공의 참전: 1.4 후퇴
5) 부산 정치파동(1952): 발췌개헌(대통령 직선제)
6) 반공포로 석방 사건(거제 수용소)
7) 휴전체결(1953.7.27): 이승만 서명 거부


3. 북한과 통일문제
**북한의 정책
1) 북조선임시 인민위원회(1946): 친일파 청산-토지개혁(무상몰수-무상분배)
2) 천리마 운동(1956): 집단적 사회주의 노동경쟁 운동
3) 종파사건(1956): 연안파와 소련파 대거 숙청
4) 북한 사회주의헌법(1972): 주체사상과 김일성 독재 강화
5) 권력승계: 김일성 > 김정일(1994) > 김정은(2011)

**통일문제
1) 이승만: 북진통일
2) 장면: UN감시 하 남북한 총선거
3) 박정희: 7.4남북공동성명(1972) > 자주-평화-민족대단결(1972)
4) 전두환: 최초 이산가족 상봉(1985)
5) 노태우: UN남북 동시가입-남북 기본합의서(1991)
6) 김대중: 6.15남북 공동선언(2000)
7) 노무현: 남북 정상회담(2007)
8) 이명박: 금강산 피격-천안함-연평도 포격 사건 등 



#13. 대한민국

1. 제1. 2 공화국
**제 1공화국(이승만)
1) 민주화 운동: 4.19혁명(1960)
- 대구 2.28의거
- 3.15 부정선거
- 김주열 사건
- 4.19혁명 발발
- 이승만 하야 선언
2) 허정 과도내각 수립

**제 2공화국(장면내각)
1) 제 2공화국 수립: 3.15 부정선거 처벌법, 경제개발 계획 수립, 의원내각제 실시(윤보선)
2) 각종 사회적 요구 직면: 거창학살 진상조사, 교원노조 활동 인정, 학원 자율화


2. 박정희 정권
**제 3공화국
1) 군사정변(1961.5.16) > 제 3공화국 수립, 중앙정보부 수립
2) 국가재건 최고회의 > 농-어촌 부채탕감-화폐개혁 시도
3) 한-일수교(1965): 무상3억불+차관2억불, 개인 배상 없음, 6.3 수교반대 시위(1964)
4) 베트남 파병 > 경제성장-사회문제(라이따이한)
5) 새마을 운동: 산업화 가속화

**제 4공화국
1) 유신헌법(1972.10월)
- 제 4공화국 출범(직선제 > 간선제)
- 대통령 종신제: 통일주체국민회의
- 국민의회 1/3 추천권
- 긴급조치(헌법정지)
2) YH여공사건(1979)
- 야당 당사에 경찰투입 > 시위 여공 강제 연행
- 김영삼의 유신비판 > 국회제명 처리
3) 부-마항쟁: 유신독재 타파
4) 박정희 서거: 10.26사태


3. 신군부의 등장
**제 5공화국(전두환)
1) 신군부 반란(1979.12.12) > 전두환, 노태우
2) 광주 민주화 운동(1980.5.18): 신군부 타도, 시민군 결성 > 공수부대의 진입
3) 국가보위 비상대책위 > 보도지침-삼청교육대
4) 집권교체: 최규하 > 전두환
5) 교복 자율화 실시

**제 6공화국(노태우)
1) 민주화 항쟁: 6월 항쟁: 
- 박종철 고문치사, 4.13호헌조치
- 민주 항쟁: 독재타도-호헌철폐 
- 6.29선언: 대통령 직선제 전환
2) 북방외교 > 중-소 수교(공산권과 수교 추진)
3) 서울 88올림픽 개최
4) 부분적인 지방자치제 실시 


댓글